노인 코피 조심하세요.
페이지 정보
본문
◈노인 코피 조심하세요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 본 코피는 흔하게 일어나고 대부분 간단한 치료 만으로 멈추기 때문에 가볍게 넘기기 쉽다.하지만 코피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코피를 악화 시키거나 출혈이 그치지 않아 응급실을 찾게 되는 경우도 있다.최근 건조한 날씨로 발생하기 쉬운 코피에 대해 알아보자.
▶코피의 원인
코피가 자주 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몸에 열이 있고 혈액 속에 철분이 부족할 때, 물리적인 힘이 가해졌거나 코가 건조할 때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특히 코에 물리적인 힘을 강하게 받았을 때 발생하기 쉽다. 보통 손가락을 넣었을 때 딱딱하게 느껴지는 콧 속 점막 부분이 충격을 받은 경우가 많다.어린이들은 코를 자주 파거나 비비는 습관이 코피 원인의 1 순위를 차지한다. 요즘같이 건조한 날씨에는 가볍게 코를 비비는 정도의 자극으로도 코피가 날 수 있다. 축농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같은 질환들도 코피를 유발한다. 음주와 흡연을 즐기는 중년층의 경우 비강 내 종양의 첫 증상으로 코피가 나는 것일 수도 있다.
▶노인 코피 조심하세요
코피는 출혈의 발생 부위가 입구 부분인지 코의 깊숙한 부위 인지에 따라 출혈 양상과 대처법이 달라진다.코피의 90%는 코 입구 부위에 있는 모세혈관 출혈에 의해 발생한다. 주로 어린이와 젊은 사람에게 많이 일어나며, 코피의 양이 적어 올바르게 지혈하면 곧 멎는다.하지만 코 뒤쪽 깊숙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코피는 흘리는 피의 양이 많아 과다 출혈에 이를 위험이 높다. 노인들의 코피가 대개 이 경우에 해당한다. 노인은 감각이 무디기 때문에 깊숙한 곳에서 나온 피가 목으로 넘어가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고혈압, 동백 경화 등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아 이런 유형의 코피가 자주 발생한다면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다.
▶코피가 난다면 이렇게 하세요
우선 등받이에 머리를 기대고 앞으로 내민다. 얼굴을 들고 위로 향하면 코피가 흘러 나오진 않지만 인두부로 흘러 들어가 삼키거나 메는 일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머리를 숙일 것.솜이나 거즈를 콧구멍 아래 대주어 흘러나오는 코피가 스며들게 한 후, 손가락 끝으로 양쪽 콧방울을 세게 누르고 5~6분 지나면 대개 멎는다.얼음 주머니나 비닐에 들어 있는 얼음으로 목덜미나 이마 부분을 함께 냉찜질 해 주는 것도 좋다. 코피가 심할 경우, 거즈나 티슈를 손가락 두께로 말아 인중에 끼워 혈관을 미리 차단하는 것도 좋다.
출처 : 중부일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 본 코피는 흔하게 일어나고 대부분 간단한 치료 만으로 멈추기 때문에 가볍게 넘기기 쉽다.하지만 코피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코피를 악화 시키거나 출혈이 그치지 않아 응급실을 찾게 되는 경우도 있다.최근 건조한 날씨로 발생하기 쉬운 코피에 대해 알아보자.
▶코피의 원인
코피가 자주 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몸에 열이 있고 혈액 속에 철분이 부족할 때, 물리적인 힘이 가해졌거나 코가 건조할 때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특히 코에 물리적인 힘을 강하게 받았을 때 발생하기 쉽다. 보통 손가락을 넣었을 때 딱딱하게 느껴지는 콧 속 점막 부분이 충격을 받은 경우가 많다.어린이들은 코를 자주 파거나 비비는 습관이 코피 원인의 1 순위를 차지한다. 요즘같이 건조한 날씨에는 가볍게 코를 비비는 정도의 자극으로도 코피가 날 수 있다. 축농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같은 질환들도 코피를 유발한다. 음주와 흡연을 즐기는 중년층의 경우 비강 내 종양의 첫 증상으로 코피가 나는 것일 수도 있다.
▶노인 코피 조심하세요
코피는 출혈의 발생 부위가 입구 부분인지 코의 깊숙한 부위 인지에 따라 출혈 양상과 대처법이 달라진다.코피의 90%는 코 입구 부위에 있는 모세혈관 출혈에 의해 발생한다. 주로 어린이와 젊은 사람에게 많이 일어나며, 코피의 양이 적어 올바르게 지혈하면 곧 멎는다.하지만 코 뒤쪽 깊숙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코피는 흘리는 피의 양이 많아 과다 출혈에 이를 위험이 높다. 노인들의 코피가 대개 이 경우에 해당한다. 노인은 감각이 무디기 때문에 깊숙한 곳에서 나온 피가 목으로 넘어가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고혈압, 동백 경화 등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아 이런 유형의 코피가 자주 발생한다면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다.
▶코피가 난다면 이렇게 하세요
우선 등받이에 머리를 기대고 앞으로 내민다. 얼굴을 들고 위로 향하면 코피가 흘러 나오진 않지만 인두부로 흘러 들어가 삼키거나 메는 일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머리를 숙일 것.솜이나 거즈를 콧구멍 아래 대주어 흘러나오는 코피가 스며들게 한 후, 손가락 끝으로 양쪽 콧방울을 세게 누르고 5~6분 지나면 대개 멎는다.얼음 주머니나 비닐에 들어 있는 얼음으로 목덜미나 이마 부분을 함께 냉찜질 해 주는 것도 좋다. 코피가 심할 경우, 거즈나 티슈를 손가락 두께로 말아 인중에 끼워 혈관을 미리 차단하는 것도 좋다.
출처 : 중부일보
- 이전글영올드 ' 젊은 치매' 가 는다. 25.04.29
- 다음글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 신청하기 안내 25.03.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